캄보디아 지원

DSC_0104.jpg

「개인의 자립」과「커뮤니티의 자립」을 테마로

IVY는 1970년부터 27년에 걸친 내전이 끝나고 부흥의 길을 걷기 시작한 캄보디아에
빈곤삭감을 위해 1993년부터 여러가지 프로젝트를 하고 있습니다.

활동 당시에는 수도 프놈펜의 고아나 스트리트 취일드런을 보호하고 있던 복지시설을 지원. 중기는 농촌에서 수도권으로 흘러나와 홈레스가 된 모자가족의 재 정주지를 지원.
그리고 99년부터는 홈레스 다발 최빈곤지대 스바이리엔주에서「개인의 자립」「커뮤니티의 자립」을 테마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캄보디아 프로젝트 목표

IVY 캄보디아 지원은 비젼(목표), 밋숀(사명)에 따라 골(구체적인 도달점)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Our Vision
IVY는 캄보디아 사람들 모두가 빈곤에서 벗어나 한 사람 한 사람이 인간답게 살아갈 수 있는 사회 실현을 목표로 합니다.

Our Mission
IVY는 사람들이 커뮤니티 개발과 지속가능한 농업을 실전하여 자신들의 생활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그 능력을 강화시키는 것을 사명으로 합니다.
Our Goal

IVY의 골은 마을의 자립입니다. 
마을의 자립이란

「마을의 민주적인 리더나 조직을 통해 마을 사람들이 
협력하여 커뮤니티 활동을 실현할 수 있게 되는것」

「마을사람들이 매일 매일 식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

「마을이 빈곤층의 수입향상을 지원할 수 있는 자금과 인재를 확보하는 것」

「마을사람들이 무리하게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되는 것」

현재 실시중인 프로젝트

  • 스바이리엔주 농산물 조합(SAC) 자립촉진 사업
    스바이리엔주 농산물조합(SAC)의 생산, 판매강화, 공급네트워크 구축, 민주적능력에 의한 경영강화를 통해 계속성의 확보와 SAC의 장래적인 자립을 목표로 합니다
  • 스바이리엔주 농촌빈곤 지대의 봉제공장 노동에서 해고당한 여성들을 위한 생계향상 사업
    봉제공장노동을 하고 있던 여성이나 마을에 사는 젊은 여성층을 대상으로 저축그룹을 만들어 양돈, 양계기술, 판매, 논농사를 위한 자연비료 제조등, 소규모 비지니스를 지도하는 것으로 생계향상을 목표로 합니다.
  • 스바이리엔주 농촌빈곤지대의 여성조합 형성사업

지금까지의 프로젝트

  • 제4사회복지센터 운영협력 (1993년 7월~1996년 6월/프놈펜시)
  • 전 홈레스 모자가족에게 재정주지에서의 자립지원
    (1995년 3월~2002년 12월/간다르주)
  • 생명의 우물 (1997년~2010년 5월)
  • 농촌여성조합 설립지원(1999년 4월~2003년 6월/스바이리엔주)
  • 쿠사노네 수의사와 가축보급원 양성(2002년7월~2003년 6월/스바이리엔주)
  • 지속가능한 농업을 통해 여성들에 의한 농촌개발
    (2003년7월~2006년 6월/스바이리엔주)
  • 여성에 의한 야채공동생산, 출하를 통한 농촌진흥
    (2007년1월~2012년 3월/스바이리엔주)
  • 야채공급, 유통시스템의 구축 프로젝트(2010년1월~2012년 3월/스바이리엔주)

yamagatabank.jpg 송금한 후에는 주소, 성명을 전화나 메일, 팩스로 알려주십시오.
南四番町지점 보통예금 0228265
계좌명  인정 NPO법인 IVY 대표이사 枝松直樹(에다마츠 나오키)

yubinbank.jpg 우편외환용지에 주소, 성명을 기입한 뒤 
「캄보디아 홍수」라고 써서 하기 계좌에 입급해 주십시오.
계좌번호 02290-2-85967
가입자명 IVY


※기부는 기부금 공제 대상이 됩니다.

왜 캄보디아일까?


캄보디아의 내전과「 가오이단 난민 캠프」

1970년 3월에 시작된 캄보디아 내전.
생명이 위협을 받고 국가의 보호를 받을 수 없는 사람들이 지뢰등의 위험에 처해있어 육지이동이 가능한 태국이나 베트남으로 도망을 갔습니다.

1979년 11월부터 1993년 3월까지 태국과 캄보디아의 국경주변에도 약 33만명의 캄보디아 난민을 수용했던 난민 캠프가 있었습니다.
그 중에 하나, 1979년 11월.
국연난민고등변무관사무소 (UNHCR)과 태국정부에 의해 제3국에 정주를 희망하는 난민의 일시 채재 시설로서 개설된 것이 「가오이단 난민캠프」입니다.

1991년의 스타디투어

이 가오이단 난민 캠프를 나중에JVC야마가타(IVY)를 결성하게 된 멤버10명이 스타디투어로 방문한것이 1991년 8월의 일입니다.

「제가 태어나면서부터 계속 인도지나전쟁, 베트남전쟁, 그리고 캄보디아내전등 항상 인도지나반도는 전쟁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신문이나 TV만으로는 전혀 알 수가 없었습니다.
실제로 자신의 눈으로 보는게 최선이라고 생각하여 용기를 내서 찾아갔습니다.」
(다케다 세츠코 JVC야마가타 초대 대표)

비행기로 7시간 정도면 갈 수 있는 같은 아시아인데 역사에 번롱되어 과혹한 상황에 처해진 사람들이 있다
그 사람들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없을까.
각자 많은 생각을 가슴에 담고 귀국한 10명은 4개월 후인 1991년 12월 8일, IVY의 전신인 JVC야마가타(일본국제 보란티아센타 야마가타)를 결성합니다.

행동에 옮기게 된 계기를 부여해 준 캄보디아는 IVY활동의 원점이 되고 있습니다.

18년의 약력

1991년 창립멤버, 가오이단 난민 캠프 방문
1993년 프놈펜시립 제4 사회복지센터 운영지원 프로젝트 (~96년)
1994년 캄보디아와 일본 아이들의 교류사업 개시(실시중)
1995년 유-도(유-섬) 전 홈레스 모자가족의 재 정주지로 자립지원 프로젝트 (~2년)
1998년 캄보디아 생명의 우물 프로젝트 개시(실시중) 
1999년 스바이리엔주 여성조합 설립지원 프로젝트 (~3년)
2000년 스바이리엔주 홍수로 인한 가축 영양 강화식 긴급지원
2001년 스바이리엔주 가뭄으로 인한 쌀 긴급원조
              스바이리엔주 쿠사노네수의사와 가축사육 보급 보란티아의 양성 프로잭트(~3년)
              *쿠사노네 수의사(수의사 면허는 없고 아마츄어지만 그 방면에 박식하고 뜻이 있는 사람)
2002년 스바이리엔주 식수 프로그램
2003년 스바이리엔주 지속 가능한 농업을 통한 여성에 의한 농촌 개발 프로젝트(~06년6월)
2006년 스바이리엔주 유기야채보급 프로젝트(~12월)
2007년 스바이리엔주 야채 공동생산, 공동출하를 통한 여성에 의한 농촌진흥 프로젝트(실시중)
2009년 스바이리엔주 건조한 시기의 논을 이용한 야채 재배용 저수지 정비 프로젝트(실시중)

캄보디아

 cambodia_map.gif

 

면적   18.1만 평방 킬로미터 (일본의 약 2분의 1)
인구   1340만명(2008년 정부통계)
수도 프놈펜   민족 쿠메르인이   90%
언어 쿠메르어   종교 소승불교(일부 소수민족은 이슬람교)
5세 미만 아동 사망율  138/1000
15세 이상의 의자율   69.4%
1일 2달러 이하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   77.7%
IVY의 활동
・ 활동개시연도 1993년
・ 현지 사무소 소재지 스바이리엔주

*수치는 외무성과 JICA 캄보디아 사무소의 홈페이지에서 인용했습니다.